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통계청은 분기별로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 조사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 소득 항목별 구성비, 가구당 월평균 지출, 소비지출 비목별 구성비, 소득 5 분위별 소득 및 소비지출 정보)
오늘은 여기서 소비지출 비목별 구성비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략적인 가계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참고해서 나만의 가계부를 작성하면 조금 더 좋은 소비 습관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요? (중간만 가도.. ㅎㅎ)
이 포스팅을 작성하는 2023년 4월 기준으로 2022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까지 나와있는데요.
4분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 7천 원입니다. 이는 1인가구부터 다인가구까지 전부 포함된 것이기에 아마 생각하시는 결과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어떤 분들은 너무 많다고 생각하고, 어떤 분들은 너무 적다고 생각하시겠죠.
각 소비지출 비목별 구성비를 보면 위와 같습니다.
음식.숙박(여기에는 외식이 포함됨)이 제일 많고, 그다음이 식료품.비주류음료로 먹는데 많은 금액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이 자동차구입비, 유류비 등을 포함한 교통 지출입니다. 주거.수도.광열은 생각보다 금액이 적었는데요. 아마 국내에는 월세보다는 전세가 보편적이고 전세 대출을 통해서 이자가 나가고, 이자는 소비지출이 아닌 비소비지출에 포함되어서 여기서 빠진 거 같습니다.
2023년 30대 직장인 한달 생활비 예산 (가계부)
안녕하세요. 작년에 올린 한 달 생활비 예산과 관련해 변경된 사항이 있어서 다시 포스팅합니다. 30대 직장인 한달 생활비 (재테크 및 예산 관리) 간단소개 안녕하세요. 저는 평범한 30대 직장인
mu888.tistory.com
저 역시 예전에 가계부를 공개한 적이 있는데요.
아래는 2022년 가구 소비와 제 2022년 당시 가계부를 비교한 것입니다.
(제 가계부에서 용돈 항목은 오락.문화와 교육에 반반 할당하였습니다)
주류.담배 및 음식.숙박, 교통이 일반 가구 대비 낮고, 주거.수도.광열이 지출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사 근처에 살면서 주말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정도가 전부라서 교통비 지출이 낮고, 대신 월세 비용이 크게 나가서 그런 거 같습니다. 이와 같이 가계부 항목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막막하거나 항목별로 어느 정도 써야 하는지 혹은 지금 가계부를 잘 작성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가구들의 평균 소비를 보면서 참고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가구당 월평균 흑자액 및 평균소비성향도 나와있는데요.
22년 4분기 기준으로 가구들은 평균 69.8%의 소비를 하고, 30.2%의 흑자를 본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이 흑자를 본 금액은 투자를 하던 저축을 하던 하시겠네요.
(월급의 30% 정도를 저축하면 평균은 가는 것일까요?)
여러분은 어떤 소비지출을 하면서 어떤 삶을 살고 계신가요?
통계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앞으로 어떻게 소비하며 살아갈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는 하단 통계청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022년 4분기 및 연간(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 보도자료 | 보도자료 | 새소식 | 관련정보 : 소득
소득
kostat.go.kr
'재테크 > 가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30대 직장인 한달 생활비 예산 (가계부) (0) | 2023.04.04 |
---|---|
30대 직장인 생활비 해부 : 구독비용 (0) | 2022.08.08 |
30대 직장인 생활비 해부 : 영양제편 (0) | 2022.07.03 |